MY MENU

논문투고규정

미술사학연구회 논문 투고 규정

미술사학연구회 논문 투고 규정

1. 논문 투고

원고는 미술사학연구회에서 지정한 ‘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(JAMS)’를 통하여 투고하며, 모든 투고자는 투고 시 논문 유사도 검사 결과를 첨부하여야 한다.

2. 논문 발표 신청의 제한

발표 논문은 다른 학술지나 간행물에 게재되었거나 게재 신청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, 투고자 자신이나 타인의 논문의 내용을 표절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.

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과 실질적인 내용의 차이가 없는 논문이 다른 학술지 또는 간행물에 중복 게재된 경우에는 논문의 작성자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.

투고자가 특수관계인 공동저자인 경우 투고자 개인정보 제공의 사전동의를 요구할 수 있다. (특수관계인이란 연구자가 미성년자[만 19세 미만] 또는 가족[배우자, 자녀 등 4촌 이내]인 경우를 칭함)

3. 저작권

본 학술지에 투고하는 자는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을 미술사학연구회에 양도하여야 한다. 논문 투고자는 논문 투고 시 ‘저작권 이양 동의서’를 제출하여 본 학술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저작권 활용에 동의하여야 한다. 『미술사학보』에 게재된 논문의 경우, 미술사학연구회 홈페이지를 통한 논문 공개, KCI를 통한 논문 공개 등 논문의 공개 및 출판, 판매 등의 권한을 미술사학연구회가 가지며, 게재된 논문 저작권 일체는 미술사학연구회에 귀속된다.

4. 연구윤리서약

『미술사학보』에 투고하는 자는 논문 투고 시 본 학회가 지정한 연구윤리서약서에 서명하고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.

5. 학술지 게재 원고의 제출내용

  • 제목
  • 저자의 이름 및 소속과 직위
  • 목차
  • 본문: 200자 원고지 120매 내외 (인쇄본 기준 30쪽 초과 시 쪽 당 5만원을 필자가 부담)
  • 국문초록: 200단어 내외
  • 영문초록: 200단어 내외로 작성하며 그 내용이 국문과 같도록 한다. 이때 제목, 저자의 이름 및 소속을 영문으로 표기한다. 영문초록은 원어민의 감수를 권고한다.
  • 도판 및 도판설명: 각 도판은 300dpi, JPEG 타입 최대 15개, 1∼2MB의 사양을 권장하며, 개수 초과 시 도판 1개당 5만원을 필자가 부담한다.
  • 주제어: 5-10개 (국문과 영문 병행 표기)
  • 참고문헌
  • 논문투고일, 심사(수정)일, 게재확정일 (특별기획 심포지엄 논문은 미기재 가능)

6. 원고작성 요령 및 세칙

  • 원고는 한글파일(hwp)로 작성한다. 원고의 서체는 KopubWorld 바탕체, 돋움체를 사용하며 학회에서 제공하는 템플릿 양식에 지정된 스타일을 그대로 적용하여야 한다.
  • 원고 분량은 본문만 200자 원고지로 환산하여 120매 내외로 작성한다. (게재가 확정된 논문이 정해진 분량을 초과할 경우, 편집위원회는 인쇄본 기준 1페이지당 5만 원을 투고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.)
  • 장, 절, 항의 표기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다: I. 1. 1) ①
  • 도판 및 도판 캡션
    • 본문 중 도판과 표는 일련번호로 제시하며, 마침표는 도판번호 뒤에 넣는다. 예) 배경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(도1).
    • 도판 이미지는 JPG 파일로 1MB 사양을 권장하며 최대 15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.
    • 저자는 도판의 저작권 및 사용권을 확보하거나 저작권 소멸 여부를 확인하여 도판을 제시하여야 한다. 도판의 저작권 및 사용권을 확보하거나 저작권 소멸 여부를 확인한 도판 이미지는 본문 안에 삽입하고, 도판캡션에 정확한 출처를 기입한다.
    • 도판캡션은 작가명,〈작품명〉, 제작연도 또는 시대, 매체와 재료, 크기(세로X가로cm), 소장처 순으로 한다.
    • 예) 김홍도, <선동취적(仙童吹笛)>, 1779, 비단채색, 130.7×57.6cm, 국립중앙박물관
    • 예) 장 앙투안 와토, <키테라 섬으로의 순례 Embarquement pour Gyhtre>, 1717, 캔버스에 유채, 129×194cm, 루브르 박물관
    • 온라인 자료 혹은 출판된 문헌의 도판을 이용할 경우 도판캡션 뒤 괄호 안에 정확한 출처를 밝힌다
    • 예) 도4 안중식, <민충정공혈죽도>, 1907 (출처: 『대한자강회회보』 8호, 1907. 2. 25)

7. 각주 및 참고문헌

<각주>

가. 한국 및 동양문헌

  • 단행본 : 저자명, 『단행본의 제목』(출판사, 발행연도), p. x.
  • 예) 김계원, 『사진 국가: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(들)의 시작』(현실문화A, 2023), p. 20.
  • 예) 中國寺觀壁畵全集編輯委員會編, 『中國寺觀壁畵全集 6-明清寺院圓覺諸天圖』(廣州: 廣東教育出版社, 2011), p. 152.
  • 학술 논문·기사: 저자명, 「글의 제목」, 『간행물의 제목』 권호(발행연도), pp. x–xx.
  • 예) 이인범, 「미술사와 민족국가주의」, 『미술사학보』 31(2008), pp. 6–11.
  • 번역서: 저자명, 『번역서명』, 번역자명 옮김 (출판사, 발행연도), p. x.
  • 예) 안나 모진스카, 『20세기 추상미술의 역사』, 전혜숙 옮김 (시공아트, 2003), p. 58.
  • 편집서에 포함된 논문: 저자명, 「글의 제목」, 『편집서의 제목』, 편집자명 엮음 (출판사, 발행연도), pp. x–xx.
  • 예) 조수진, 「알베르토 자코메티: 초기 자코메티 조각과 원시주의」, 『현대조각 읽기』, 윤난지 엮음 (한길아트, 2012), pp. 98–99.
  • -계속되는 인용
  • ① 예) 김계원, 앞의 책, p. x. 예) 이인범, 앞의 글, p. x.
  • ※ 단행본은 ‘앞의 책’, 정기간행물이나 학위논문 등은 ‘앞의 글’로 표기한다.

나. 서양서

  • 단행본: 저자의 이름과 성, 단행본의 제목 (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), pp. x–xx.
  • 예) Hal Foster, The Return of the Real (Cambridge, Massachusettes: MIT Press, 1995), pp. 9–11.
  • 학술 논문·기사: 저자의 이름과 성, “글의 제목,” 간행물의 제목, 권호(발행월, 발행연도), p. x.
  • 예) Linda Nochlin, “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?,” Art News, vol. 69 (January, 1971), p. 36.
  • 번역서: 단행본의 제목, trans. 번역자의 이름과 성 (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), pp. x–xx.
  • 예) Andrzej Walicki, A History of Russian Thought: From the Enlightenment to Marxism, trans. Hilda Andrews-Rusiecka (California: Stanford University Press, 1979), pp. 98–99.
  • 편집서에 포함된 논문:: 저자의 이름과 성, “글의 제목,” in 편집서의 제목, ed. 편집자의 이름과 성 (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), pp. x–xx.
  • 예) Richard Nash, “Sporting with Kings,”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Horseracing, ed. Rebecca Cassidy (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, 2013), pp. 17–21.
  • -계속되는 인용
  • ① 예) Foster, 앞의 책, p. x. 예) Nochlin(1971), 앞의 글, p. x. 예) 위의 책, p. x.
  • ※ 중복 저자는 ‘원저자(발행연도)’ 또는 ‘원저자, 표제일부’로 구분한다.
  • ※ ‘앞의 책’은 동일 저자가 앞장에 등장한 경우, ‘위의 책’은 바로 위 인용을 의미한다.

<참고문헌>

- 국내문헌은 저자명 기준 가나다순, 외국문헌은 저자 성의 알파벳순으로 작성한다.

- 동일 저자의 논저가 여러 편 게재될 경우 먼저 발행된 연도순으로 나열하며, 발행 형태(단행본, 전시도록, 논문, 잡지 등)는 구분하지 않는다.

가. 한국 및 동양문헌

  • 단행본: 저자명, 『단행본의 제목』,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김계원, 『사진 국가: 19세기 후반 일본 사진(들)의 시작』, 현실문화A, 2023.
  • 학술 논문·기사: 저자명, 「글의 제목」, 『간행물의 제목』 권호(발행연도), pp. x-xx.
  • 예) 이인범, 「미술사와 민족국가주의」, 『미술사학보』 31(2008), pp. 6–11.
  • 번역서: 저자명, 『번역서명』, 번역자명 옮김,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안나 모진스카, 『20세기 추상미술의 역사』, 전혜숙 옮김, 시공아트, 2003.
  • 편집서에 포함된 논문: 저자명, 「글의 제목」, 『편집서의 제목』, 편집자명 엮음, pp. x-xx.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조수진, 「알베르토 자코메티: 초기 자코메티 조각과 원시주의」, 『현대조각 읽기』, 윤난지 엮음, pp. 98–99. 한길아트, 2012.

나. 서양서

  • 단행본: 저자의 성, 이름. 단행본의 제목. 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Humphry, Ozias, and Joseph Mayer. A Memoir of George Stubbs. London: Pallas Athene, 2005.
  • 학술 논문·기사: 저자의 성, 이름. “글의 제목.” 간행물의 제목, 권호(발행월, 발행연도), p. x.
  • 예) Nochlin, Linda. “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?” Art News, vol. 69 (January, 1971), p. 36.
  • 번역서: 저자의 성, 이름. 단행본의 제목. Trans. 번역자의 이름과 성. 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Walicki, Andrzej. A History of Russian Thought: From the Enlightenment to Marxism. Trans. Hilda Andrews-Rusiecka. California: Stanford University Press, 1979.
  • 편집서에 포함된 논문: 저자의 성, 이름. “글의 제목.” In 편집서의 제목, ed. 편집자의 이름과 성, pp. x-xx. 출판지명: 출판사, 발행연도.
  • 예) Nash, Richard. “Sporting with Kings.”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Horseracing, ed. Rebecca Cassidy, pp. 17–21. Cambridge: Cambridge University Press, 2013.

8. 기타 표기

  • 모든 용어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. 단, 번역이 곤란하거나 고유명사일 경우 원어를 괄호 안에 병기한다.
  • 『저서』, 〈작품명〉, 《전시명》 등에는 괄호 없이 이탤릭체로 표기한다.
  • 외래어 및 로마자 표기는 국립국어원의 어문규정(www.korean.go.kr)에 따른다. 단, 규정이 부적절한 경우 실제 발음에 가깝게 표기할 수 있다.
  • 한문 사료는 본문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고, 각주에는 한자만 표기한다.

9. 부칙

  • 본 규정을 2024년 4월 22일자로 개정하여 『美術史學報』 제 62집부터 적용한다.